환경안전,보건위생

수질오염물질의 종류

문어92 2020. 11. 16. 07:00

수질오염물질의 종류


-BOD(유기물질)-
BOD의 배출원은 도시하수,낙농업, 식품공장,피혁공장,펄프공장 등 으로 방류수역의 혐기성화와 수중생태계 교란 악취를 유발시킨다. 생물학적처리가 대표적인 처리방법이다.
-크롬(Cr)-
합금, 도금, 제련공장, 피혁공장, 염료공장, 쓰레기 연소시 발생하며 피부염, 피부궤양,코위에 점막을 형성하며 신장장애를 일으킨다 처리방법으로는 환원 침전법, 이온 교환법, 전해법 등이있다
-시안(CN)-
도금공장, 코크스 공장 아크릴로 니트릴 산업등이 대표적인 배출원이며 흡입시에 질식, 호흡기장애, 소화계장애 를 일으킨다. 알칼리 염소법, 오존 산화법 등으로 처리한다
-PCB-
폴리 크로리네이티드 비 페닐로 전기기기공장, 접착제, 인쇄잉크, 변압기, 콘덴서 생산시 발생하며 간장장애, 피부장해, 전신권태, 수족저림 등을 유발하며 카네미유증이라고도 불린다. 용제 추출법, 응결침전법, 방사선 조사법, 흡착법 등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것이 대표적이다.
-페놀-
도료, 석유정제, 양품공장, 금속공장 등에서 배출되고 있으며 페놀에 노출된 물을 염소소독하면 클로로페놀을 만들어 악취를 발생 시킨다. 대표적인 처리방법으로는 생물학적 처리, 화학적 산화법 등을 이용한다.
-비소-
황산제조, 살충제 공장, 피혁제조업, 비료공장등에서 생산과정에서 발생하게되며 피해및 영향으로는 빈혈, 구토, 설사, 수족의 지각장애, 흑피증(색소침착) 등의 피해를 입힌다고 알려져있다. 주로 수산화물공침법 이온교환법으로 처리하면 효율이 좋다.
-동(CU)-
구리는 도금공장과 파이프제조업 전선공장 등에서 많이 발생하는 양상을 보이며 간병변을 일으키는 독성물질이다 이온 교환법이 높은 효율을 보이며 처리시 많이 사용된다.
-납-
축전지 제조공장, 안료제조공장, 페인트공장,요업공장 에서 발생하며 빈혈, 식욕부진, 두통, 피로, 급성위장병 등의 피해를 보인다.
-망간(Mn)-
건전지 공장, 화학공업, 광산, 유리착색 등에서 발생되며 파킨슨씨 증후군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며 인체에 부족할경우 빈혈을 유발한다.
-카드뮴(Cd)-
정련공장, 도금공장, 석유화학공업 등에서 주로 발생하며 간과 신장에 축적되며 칼슘대사장애와 골연화증을 유발하며 이타이타이병 으로 불린다.
-아연(Zn)-
아연공장, 광산제련, 맥기공장 에서 발생한다 흡입시 구토증상과 발열 인체에 부족시 소인증을 일으킬수있다.
-불소-
인산비료공장, 살충제 공장, 유기공장, 반도체공장에서 발생하며 부족하면 충치를 유발하고 과하면 반상치를 생성한다 형석 침전 방법으로 제거하는것이 일반적이다.